전체 글52 프로덕트 매니저의 핵심 역량 12가지 https://www.ravi-mehta.com/product-manager-roles/ What’s Your Shape? A Product Manager’s Guide to Growing Yourself and Your Team There is a lot for PMs to master. Most PMs excel at a handful of skills. The best PMs leverage their strengths and unite teams that fill their gaps. Knowing your shape is the first step. www.ravi-mehta.com 2022. 1. 14. [PM의 책 읽기] "임파워드" 한 줄 정리 이 책을 읽는 신입 PM으로서,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앉아 보다 넓고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성장 루트를 가늠해볼 수 있었다. 는 관리자 입장에서 쓰인 책이다. PM은 어떤 역량들을 관리해 나가야 하는지, 실제 업무에서 직접 경험하며 발견하는 인사이트가 교과서처럼 챕터별로 명료하게 정리되어 있었다. 그 중에서도 인상적이었던 챕터는 다음과 같다. 오너십 PM의 역할은 제품팀의 디자인, 개발 영역의 전문가들이 문제 해결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며, 따라서 비즈니스적 제약에 대해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어야 하며 문제 해결에 대한 오너십을 갖춰야 한다. 이전까지는 '오너십'에 대한 오해가 있었다. 상황이나 특정한 무언가에 전적인 책임을 갖는 것이며 실패에 책임지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때문에 무겁.. 2022. 1. 7. [앰플리튜드 첫 걸음] 1. 앰플리튜드는 무엇일까? 앰플리튜드는 무엇일까? 유저가 서비스에서 무엇을 하는지 알려주는 툴 PA툴: Product analytics tool 중 하나. 실제 서비스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분석해주는 툴. GA, Mixpanel 등이 여기에 속한다. 앱, 웹 서비스에서 사용된다. '서비스에서 일어나는 일'이라면? 유저가 발생시키는 행동, 이벤트가 무엇인지 볼 수 있는 툴 유저가 서비스에서 무엇을 하는지 알 수 있는 툴 그렇다면 앰플리튜드는 유저를 어떻게 식별할까? 유저를 식별하는 방법에 따라 회사에서 볼 수 있는 데이터가 달라진다. 앰플리튜드는 3가지 방식에 따라 유저를 구별하게 된다. 디바이스 아이디: 기기로부터 오는 정보들 - 디바이스(디바이스마다 아이디 부여), 세션 아이디(접속할 때마다 물어보는 '이 사람 누구야?'), 브라.. 2021. 12. 26. [인사이트] 미공군의 팔로워십 육성 팁 미공군의 팔로워십 육성 팁 조직의 경쟁력은 곧 조직구성원의 경쟁력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인재전쟁(war for talent)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많은 조직에서는 인재를 찾고 육성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조직 hrbulletin.net 2021. 12. 22. [PM의 책 읽기] "The One Page Proposal" 감상평 1 page proposal은 일이 되게끔 만들기 위한 강력한 도구다. 외부의 일반 고객들 외에도, 내부의 이해관계자들 또한 PM이 만족시켜야 하는 고객이다. 그들로부터 다양한 요구사항을 받아들이며, 목표 달성을 위해 그들을 설득하고 생각과 행동의 변화를 도와야 한다. How를 설명하기 위한 SB의 경우, 개발자, 디자이너 입장에서 이해하기 쉬운 언어, 로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한편, Why를 설명하기 위한 PRD는 PO의 입장에서 원하는 정보와 구성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이처럼 독자가 누구냐에 따라 접근 방식과 내용이 달라져야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설득을 이끌어낼 수 있다. 개발 지식을 비롯해 외적 조사로 알 수 있는 내용도 있지만 설득 상대인 개인에 대한 파악도 병행되어야 하며, 이는 결국 인.. 2021. 12. 13. [인사이트] 새로운 역할에서 빠르게 성과내는 법(패스트 무버들의 전략) 출처: HBR 내부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라. (패스트 무버들은) 넓은 네트워크로 빠르게 스며들어, 새로운 커넥션을 활성화해서 영향력을 만들고, 부가가치를 만드는 방법과 스킬의 빈틈을 메우는 데 도움이 되는 사람을 찾아내며, 네트워크를 사용해 영향력을 확대하고, 직장 경험을 개선해주는 관계를 우선시한다. CEO는 또한 네트워크에 의존해서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전환은 항상 이와 같은 스킬 격차를 낳는다. 우리 대부분은 이런 사실을 제대로 보지 못하거나 허세를 부려서 덮고 지나가려 한다. 하지만 패스트 무버들은 부가가치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자신이 약한 분야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다. 또는 이런 격차를 메울 수 있는 지식과 스킬을 가진 사람들을 찾기도 하는데, 이런 방식이 속도를 .. 2021. 12. 13.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